무제(untitled)
김이안
2024
|
믹스미디어
|
×
cm
무제(untitled)
김이안
2024
|
믹스미디어
|
1000
×
1000
cm
무제(untitled)
김이안
2024
|
믹스미디어
|
540
×
390
cm
무제(untitled)
김이안
2024
|
믹스미디어
|
540
×
390
cm
무제
김지원
2018
|
캔버스에 유화
|
60
×
30
cm
무제
김지원
2020
|
캔버스에 유화
|
40
×
80
cm
moon bag
김지원
2020
|
캔버스에 유화
|
40
×
80
cm
무제
김지원
2020
|
캔버스에 유화
|
63
×
97
cm
JUSTICE
김지원
2020
|
종이판넬에 수채화와 과슈
|
80
×
40
cm
애국자의 최후
김지원
2016
|
종이판넬에 수채화와 과슈
|
80
×
52
cm
계단
김지원
2013
|
종이판넬에 수채화와 과슈
|
62
×
97
cm
죄를 지은 자는 숲으로 오라
김지원
2020
|
종이판넬에 수채화와 과슈
|
80
×
80
cm
고양이를 찾아라
김지원

내가 여태까지 학교에서 강요받아온 작품 방식은 대개 ‘차별’을 하는 것이다. 그리는 작품에 등장하는 모든 요소들에 의미를 부여하고 해설을 붙이며 주인공과 엑스트라를 나누어 우선순위를 매기라고 배워왔다. 작품의 주인공은 심오한 의미를 담아서, 크게 그려야하고 세밀한 묘사가 있어야 한다는 법칙 아닌 법칙을 강요받는다. 가끔은 어떠한 상징적 의미가 없는 요소는 그림 내에 불필요하게 추가된 덩어리처럼 취급받는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그 경계선이 선명하다. 물론 그런 종류의 작품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무겁고 진중한 작품을, 감상방식을 좋아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안되지만 나로서는 그런 것이 너무 차갑고 딱딱하게 느껴진 것 뿐이다. 그래서 이 작품을 시작했다.

주인공이 없는 그림. 의미가 부여되면 감상자마다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서열을 만들어 낼수가 있어 작품 속 모든 요소들은 상징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모두가 주인공이면서 주인공이 아닌 것이 된다. 제목이 ‘고양이를 찾아라’여서 고양이가 주제가 아니냐는 질문을 할 수 있지만, 고양이는 다른 요소들과 마찬가지로 별다른 의미가 없다. 고양이들은 다른 요소들 사이사이에 숨어있다. 때문에 감상자는 고양이를 찾으려면 그림을 멀리 떨어져서가 아니라 그림에 가까이 붙어서 관찰을 해야한다. 그 과정에서 감상하는 그림을 보는 속도가 늦춰지고 작품 속 요소들을 하나하나 자세히 관찰할 여유를 갖는다. 따라서, 이 6마리의 고양이들은 어떠한 상징적 의미도 갖지 않고 감상자의 작품 속도를 늦추어, 다른 요소들을 관찰하게 하는 작품 속 장치에 불과하다. 이는 시각적 현란함을 전달하는 다른 작품 속 장치들과 동등한 위치에 서게 된다.

2017
|
종이판넬에 수채화와 과슈
|
62
×
97
cm

큐레이션 작품

더 보기
작가 후원 안내
작가들이 작품 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아래 계좌로 후원금을 받고 있습니다. 입금자명에 후원자명을 앞, 작가명을 뒤에 입력해주세요. (ex. 후원자명/작가명)

보내주신 후원금은 작가에게 모두 전달됩니다.
후원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작가 후원하기